조중동이 공격한 '천안함 음모론자들'? > 통일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통일게시판

조중동이 공격한 '천안함 음모론자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천민
댓글 0건 조회 1,938회 작성일 11-03-22 18:20

본문

의혹 제기에 맹공…
한미 훈련 도중 발생한 사고, 군의 의혹 자초 행위 등 외면

미디어오늘 고승우 전문위원 | konews80@hanmail.net 2011.03.22  13:12:34
 
조중동은 22일 천안함 사고 1주년을 앞두고 사설을 일제히 싣고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시민단체 및 언론단체가 전문가의 자문을 받지 않은 채 상식적 차원에서 무책임하게 의혹을 제기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이명박 정부가 세계적 관심사가 되었던 천안함 사고의 진상 규명을 제대로 하지 못한데 대한 시민 언론단체의 당연한 문제제기를 비난한 것으로 이는 마치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나무라는 꼴이다.
 
천안함 사고에 대한 이명박 정부의 진상 규명은 국제법상 인정받을 수 없게 되어 수십 명의 아까운 젊은이가 희생된 이 사고는 국제사회에서 영구미제 사건으로 분류되는 참담한 현실이지만 조중동은 이를 철저히 외면했다.
 
조선일보는 이날 ‘남 속이기 앞서 자기 먼저 속인 천안함 음모론자들’ 이란 제목의 사설을 통해 “오는 26일이면 천안함이 폭침(爆沈)된 지 만 1년이 된다. 일부 시민단체와 언론단체는 지난 1년 동안 '천안함이 북한 어뢰의 수중폭발에 의해 침몰된 것'이라는 민관(民官) 합동조사단 발표는 조작된 것이라는 주장을 계속해 왔다”고 썼다.


조선일보 3월21일자 1면.

이 신문은 이어 “기자협회·언론노조·PD연합회 등 3개 언론단체가 구성한 '천안함 언론보도 검증위'는 작년 10월 '천안함 침몰 때 어뢰 피격 때 발생하는 버블제트 폭발현상은 없었다'고 발표했었다. 우선 눈에 띄는 것은 두 단체 모두 천안함 폭침 원인 규명에 필요한 물리·화학·공학 분야 전문가는 없었고, 그들이 의견을 발표하기 전에 외부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상식적인 의문을 제기한 것’이라고 했고, 검증위 관계자는 ‘어려운 분야라서 과학적으로 우리가 많이 알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했다”고 썼다. 
 
중앙일보는 사설 “‘천안함 진실’ 찾는 대학생들”에서 “사건 발생 1년(3월 26일)이 되도록 이를 부정하고 왜곡하려는 일부 세력이 있는 게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들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좌초설·미군 오폭설(誤爆說) 등을 주장하면서 갈등을 부추겨 왔다. 유엔에 ‘한국 정부의 조사 과정에 의문이 많다’는 서한을 보내고, 미국으로 달려가 조사 결과를 반박했다. 지금도 사소한 꼬투리를 잡아 의혹을 짜깁기하면서 ‘특대형 모략극’이라는 북한의 억지 주장과 호흡을 맞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동아일보도 “과학도 사실도 안 믿는 ‘불신사회, 미신국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천안함 음모설도 1년째 살아 움직인다. 미국 영국 호주 스웨덴 전문가를 비롯한 73명이 참여한 다국적 합동조사단이 55일간 수십 차례의 현장검증과 모의실험을 하며 증거물을 확보해 북한의 소행임을 밝혔는데도 상당수는 지금도 믿지 않는다... 친북 반미 반정부를 위해서는 과학과 사실마저 부정하니 사이비 종교를 믿는 맹목(盲目)의 신자와 무엇이 다른가. 악의적인 이념이 덧칠된 거짓 주장은 국가 안보와 국민의 안전마저 위태롭게 한다”고 썼다.

동아일보는 전날 ‘46용사와 한주호 준위는 편히 잠들었을까’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북한의 어뢰 공격으로 두 동강 난 천안함은 1년 전 북의 기습적 만행을 똑똑히 증언하고 있었다....작년 11월 23일 북은 연평도 민간인 거주지역을 포격했다. 천안함은 기습당했다고 하지만 연평도 피격 때는 포격 원점(原點)을 알면서도 본때를 보여주지 못했다....‘우리 내부의 적(敵)’에도 온 국민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북이 노리는 이간책에 휘둘리는 남-남(南南) 갈등은 우리의 안보를 위협할 수준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조중동은 천안함 사고와 관련해 시민언론단체의 문제제기를 맹비난하면서도 이 사고가 ▲한미 연합해상훈련 도중 발생해 당시 사고해역 부근 등에서 작전중이던 수많은 한미 전함 등이 천안함에 어뢰를 발사했다는 잠수함(정)을 전혀 포착하지 못했으며 ▲미국무부가 사건 초기에 북한의 개입 가능성을 부인했던 사실, ▲천안함 사고이후 군의 거듭된 거짓말 소동과 사고 원인 조사에 앞서 북한 책임론으로 몰아간 청와대의 태도 ▲천안함을 타격했다는 문제의 어뢰가 사고이전부터 바다 속에 잠겨있었던 것이 아니냐하는 하는 의혹 등에 대해서는 철저히 침묵했다.
 
이들 신문은 정부에 대해 설득력 있는 진상조사를 촉구한 시민, 언론단체들에 대해서만 칼을 겨누는 해괴한 논조를 폈다. 특히 동아일보는 연평도 포격사건에 대해서도 ‘북에 본때를 보여주지 못했으며 우리 내부의 적에도 온 국민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썼지만 이는 이 포격 사건이 국제법상 문제가 있다는 서해북방한계선(NLL)과 관련해 벌어졌다는 사실은 외면했다.
 
돌이켜 보면, 지난해 천안함 사고는 수많은 장병이 사망했다는 비극적 요소가 군의 기밀주의와 지속적인 보도통제 속에서 다뤄진 특성을 지녔다. 특히 이 사고는 한미합동군사훈련 도중 발생했는데도 초기에 사고 원인조차 제시되지 못해 안보 태세 및 위기관리 무능이 지구촌에 널리 알려지는 국치를 자초한 점도 지적되어야 한다.
 
천안함 사고에 대한 초기 언론보도의 결정적인 맹점은 이 사고가 한미독수리훈련 기간 동안에 벌어진 상황이라는 점이 생략되었다는 점이다. 수구 언론 등은 사고 초기 수색 및 구조 작업과 사고의 비극적인 측면을 부각시켰을 뿐 합동훈련 도중의 사고라는 점을 외면하거나 소홀히 했다. 그 결과 소설 수준의 추측성 보도가 줄을 이었다.
 
미국의 최첨단 이지스함이 두 척이나 동일한 훈련에 참가한 상황에서 발생한 이 사고는 그 원인 등에 대한 탐색이 다각도로 이뤄질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수구언론은 이런 점을 철저히 외면했다. 미국도 사고 초기 북한의 개입 가능성을 알지 못한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국내 대부분의 언론은 이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미디어오늘 2010년 3월 27일).
 
사고 직후 국방부는 생존 장병의 외부 접촉 금지 등의 의혹을 자초했으며 외부공격에 의한 사고로 단정 짓는 식으로 정보 제공을 집중했다(연합뉴스 3월 27일). 이명박 정부는 사고 초기부터 ‘단호한 대응’이라는 슬로건을 정부 안팎에서 이구동성으로 외치는 식으로 북한 원인설의 불씨를 지속적으로 지피는 공세적 입장을 취했다.
 
수구신문 일부와 공중파 방송 등은 한술 더 뜨는 식의 선정적 보도를 쏟아냈다. 즉 정부는 ‘만약에’라는 식의 가정법에 임각해 북한을 지목했고 대다수 언론은 ‘만약에’를 생략하거나 왜소화하는 방식으로 북한의 책임론을 기정사실화하는 식의 보도(KBS 2010년 4월18일)를 이어나갔다. 이들 언론은 과거 냉전시대의 여러 비극적 사고를 거론하면서 북한의 소행이 분명하며 당연히 응징해야 한다는 식의 기사를 양산했다. 이런 언론의 보도 태도는 19세기말 미국의 일부 언론이 미국과 스페인간의 전쟁을 부추기는 기사를 양산하면서 여론을 전쟁 쪽으로 몰아간 황색저널리즘과 흡사했다(미디어오늘 2010년 4월22일).
 
이명박 정부의 주장대로 천안함 사고의 책임을 북한에 물으려면 위해를 가한 폭발물, 폭발물 발사 주체에 대한 물증을 제시해야 하는 것이 국제법상의 상식이다. 남측은 폭발물로 어뢰를 제시했지만 북측 함정이 어떻게 침투해서 작전을 폈는지에 대해서는 관련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 사고 당시 한미 해군함정 다수가 주변 해역에 포진해 작전 중이었고 미군 첩보 위성, 정찰기 등이 상시 작전을 펴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증거를 전혀 확보하지 못한 것은 극히 부자연스럽다. 국방부는 천안함을 폭침시킨 결정적 증거로 제시한 어뢰에서 사고 발생 이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보이는 조개껍질이 뒤늦게 발견되자 이것도 파손해버리는 비상식적인 일을 저질렀다.
 
동아일보가 일방적인 논조를 편 연평도 포격 사건도 남북이 충돌해온 NLL부근에서의 포사격 훈련이 갖는 국제법적 의미를 따져서 접근했어야 한다. NLL 부근에서 남북 함정의 충돌은 과거 정권에서도 수차 발생한 바 있다. 정전협정문에도 명기되어 있지 않은 서해 NLL은 국제법상 보호를 받을 수 없다. 연합뉴스 2011년 1월 17일치 기사는 미국의 고위 관리들 역시 이같은 사실을 주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이 기사를 보면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을 포함한 미국 관리들이 30여년전(인 1970년대에) 1953년 설정된 북방한계선(NLL)이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없다는 지적을 했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고 한다. 당시 국무장관이던 헨리 키신저는 1975년 미국 외교전문을 통해 일방적으로 설정된 NLL은 확실히 국제법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남북 해군함정이 과거 수차례 격돌한 바 있는 해당 수역을 남북이 평화적인 방식으로 봉합하려 한 것이 10.4선언에서 규정해 놓은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지역 설정 구상이다. 이런 구상에 남북이 합의한 것은 해당 수역이 국제법상 분쟁의 소지가 높다는 점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명박 정권이 집권 후 10.4선언을 외면하면서 남북관계가 악화되고 결국 연평도 포격 사태로 비화되고 말았다.
 
이명박 정권은 여전히 현실성 없는 ‘비핵개방3000’정책을 고집하고 있다. 현 정권은 북한의 지속적인 대화 제의에 대해 미국과 함께 ‘진정성이 없다’는 논리로 외면하고 있다. 남북 당국 간 회담이나 대화를 이끌어갈 의지나 태도를 전혀 보이지 않는다. 조중동 또한 이 정부의 주장을 반복하고 있을 뿐이다.
 
수구언론 등은 특히 천안함 사고에 대한 정부의 발표에 대해 수많은 문제 제기가 있었지만 정부의 주장대로 ‘폭침, 도발’과 같은 용어로 보도하면서 이들 사고 원인에 대한 문제제기조차 이적행위로 몰거나 내부의 적이라는 식의 주장을 펴고 있다.
 
언론은 권력에 대한 냉정한 파수견이 되어야 한다. 권력의 나팔수가 되어 헌법에 보장된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억누르는 언론은 언론의 탈을 쓴 흉기일 뿐이다. 이는, 다시는 발생하지 말아야 하고 그 책임 소재를 정확히 가려야 할 천안함 사고 1주년이 가까워 오는 시점에서 더욱 새삼스럽게 다가오는 교훈이다.

2MB의정책참고서.jpg

천암함 005.jpg

천암함 003.jpg

천암함 009.jpg

천암함 020.jpg

천암함 006.jpg

201004070500015_1.jpg

20100419091122924.jpg

2010040300044_0.jpg

NISI20100429_0002670963_web.jpg

2010033018010212615_175923_0.jpg

88645_97300_411.jpg

2010.3.20~31 030.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Copyright © 2010 - 2023 www.hanseattle1.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