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올림픽 경제효과는 판타지 소설 > 통일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통일게시판

동계올림픽 경제효과는 판타지 소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제이엘
댓글 0건 조회 1,640회 작성일 11-07-29 21:02

본문

동계올림픽 유치의 경제 효과 전망이 판타지 소설 수준이다. 엄청난 세금이 투입된다는 점은 무시된다. 인구 20만 도시에 빙상장 5개가 무슨 소용인지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거대한 실수’를 경계해야 한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가 확정된 이후 ‘장밋빛 전망’이 잇따른다. 평창 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는 올림픽 개최의 경제 유발 효과가 총 20조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2018년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진입’이라는 말까지 언론에 등장했다. 7월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 보고서는 언론에 여러 차례 인용되었다. 이 보고서는 올림픽 관련 투자 및 소비지출 등 직접 효과는 21조1000억원, 올림픽 개최 이후 10년 동안의 경제 효과는 43조8000억원이라고 ‘추정’했다(총 경제 효과 64조900억원).

반론도 만만치 않다. 선대인 김광수경제연구소 부소장은 이를 두고 ‘경제 효과 부풀리기’라고 지적한다. 경기장, 교통망 건설, 숙박시설 건설 등 올림픽과 관련한 시설에 세금을 쓰면 경제 효과는 커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런 예산이 다른 곳에 쓰일 때 더 큰 경제 효과를 유발하는 것은 아닌지 따져야 하는데, 이에 대한 타당성 검토가 아예 빠졌다는 것이다. 세금으로 지출해야 할 비용까지 경제 효과에 포함하는 것도 문제다. 선대인 부소장은 이른바 간접 경제 효과는 ‘판타지에 가깝다’고 말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보고서를 살펴보자(도표 참조). 올림픽 이후 10년 동안의 간접 경제 효과를 43조8000억원으로 추산했다. 올림픽 이후 인지도가 상승해 현 수준 외국인 관광객(연간 1000만명)의 10%인 100만명이 증가할 것을 가정했다. 10년 동안 외국인 관광객이 100만명씩 추가로 들어오리라고 가정하고, 이들이 소비하는 평균 비용을 토대로 해당 산업의 생산유발계수를 곱해 32조2000억원을 산출한 것이다. 그리고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로 11조6000억원을 산출했다. 역시 평창 올림픽으로 인해 100대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가 1% 포인트 상승할 것이라고 가정한 후 나온 수치다.


   
ⓒ뉴시스
7월6일 평창 시민이 동계올림픽 유치 기원 응원대회를 열었다.

대구, 2002년 월드컵 이후 관광객 오히려 감소


정희준 교수(동아대 스포츠과학부)는 “외국 학자들은 국가가 메가스포츠 이벤트 유치에 나서면서 경제 효과를 ‘창조(inventing)’한다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어떤 가정을 두고 셈한 추정치를 사실로 받아들이게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관광객만 해도 올림픽과 같은 메가스포츠 이벤트 때 오히려 감소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개최지의 번잡스러움, 테러 위협 가능성 때문에 오히려 방문을 꺼리는 ‘거리 두기 요인(stay away factor)’이 생긴다는 것이다. 실제로 2002~2003년 대구가 그랬다. 대구는 2002년 월드컵 경기를 치렀고, 2003년 유니버시아드 대회를 개최했다. 하지만 두 해 연속 대구의 외국인 관광객 수는 오히려 줄었다. 2001년 30만명이던 외국인 관광객이 2002년에는 24만명, 2003년에는 17만명으로 감소했던 것이다. 이에 대해 현대경제연구원은 “직접 효과로만 따질 일이 아니다. 큰 경기를 치르고 나면 국가 브랜드가 높아진다. 2003년 <겨울연가>로 한류 열풍이 일었는데, 따지자면 그것도 2002년 개최한 월드컵 효과였다. 박지성·이영표 선수가 유럽 리그에 진출한 것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브랜드 이미지가 좋아지면서 생겨난 이런 효과를 반영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위는 올해 3월1일 동계올림픽 유치 반대 집회를 연 독일 뮌헨 시민들.

1984년 LA 올림픽 이후 대회는 대체로 ‘흑자’


그간의 통계를 보면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이후 올림픽 대회 자체는 흑자를 기록하는 추세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흑자를 기록했다. 예컨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도 3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정희준 교수에 따르면, 올림픽 같은 메가스포츠 이벤트에서 ‘적자냐, 흑자냐’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정 교수는 “투자 비용을 어디까지 산정할 것인지 모호한 측면이 있다. 중요한 것은 토건사업 등 개최 준비 비용으로 엄청난 세금이 투입된다는 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엄청난 투자 비용을 감안하면 흑자 올림픽은 없다”라고 단언한다.

투자 비용을 해당 도시가 껴안으면서 ‘올림픽 이후 불경기(post Olympic slump)’를 겪는 사례는 자주 목격된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은 대표적 ‘빚잔치’로 꼽힌다. 올림픽을 유치하면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은 환상에 그쳤다. 그리스의 GDP 성장률은 2004년 4.7%였다가 2005년 3.7%로 떨어졌다. 소비 증가율도 4.2%에서 3.0%로 낮아졌다. 수출 증가율은 11.57%에서 3.2%로 떨어졌다. 아테네는 35개 경기장과 72개 훈련장 유지에만 연간 1200억원을 쏟아 붓고 있는 실정이다.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의 후유증은 코믹하기까지 하다. 대회 유치 당시 몬트리올 시장은 ‘남자가 아이를 낳지 않는 이상 올림픽으로 인한 적자는 없다’고 호언장담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상황은 ‘남자 임신’ 수준으로 나아갔다. 대회를 마치고 활용도가 떨어진 올림픽 주경기장은 이후 소를 사고파는 우시장으로 방치될 정도로 골칫거리였다. 주경기장은 ‘거대한 빚’(The Big Owe), ‘거대한 실수’(The Big Mistake)’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올림픽 때문에 발생한 적자는 10억 달러 수준이었다. 몬트리올은 담배세를 높이는 따위 방법으로 올림픽 이후 30여 년이 지난 2006년이 되어서야 이를 다 갚을 수 있었다.

스포츠 시설물은 건축 분야에서 효율성이 낮은 건축물로 분류된다. 메가스포츠 이벤트 이후 경기장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 엄청난 재정이 들어간다. 2002년 월드컵 이후 경기장 활용에 대해 연구한 바 있는 인하대 스포츠과학연구소 서동환 연구원은 “상암경기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월드컵 경기장이 한 해 최대 30억원까지 적자를 기록했다. 경기장을 세우기 전에 대회 이후 활용도를 어떻게 높일지 고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정희준 교수는 “인구 20만 도시(강릉)에 빙상장 5개가 무슨 소용인가. 소치 올림픽 때는 빙상장을 가건물로 만들고 이를 철거했다. 이후 예상되는 재정 손실을 아예 잘라버린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런 우려를 들어보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장밋빛 전망’에는 발라내야 할 가시가 많아 보인다. 그 가시에 찔려 국민 세금이 말 그대로 혈세(血稅)가 되기 전에.


출처: 시사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


Copyright © 2010 - 2023 www.hanseattle1.com All rights reserved.